Study/정보통신공학

[Week 12-2] LAN - Addressing, ARP, Topology

ansui 2023. 5. 24. 12:16

Chap 11. Local Area Network (LAN) Overview 

 


< Local Area Networks (LAN) >

- Addressing, ARP

- Topology

- Ethernet

- Switches

- Virtual LAN (VLAN)

 

 

< 802 - LAN protocol의 suit >

> 802.1 - LAN

> 802.3 - Ethernet

> 802.11 - Wireless LAN

 


< IP address >

: 네트워크 내에서만 유일 - 다른 곳으로 가면 바뀐다

: 논리적 주소 - 여러 기기가 같은 주소를 가질 수 있다

: 32-bit (IPv4) → 8bit씩 4개 (0~255)

: network-layer address for interface

: used for layer 3 (network layer) forwarding

예) 128.119.40.136

 

 

< MAC (or LAN or physical or Ethernet) address >

: 기기가 가지는 고유의 주소

: 48-bit → 4bit씩 12개 (0~15)

예) 1A-2F-BB-76-09-AD

 

- function

: used “locally” to get frame from one interface to another physically-connected interface

(same subnet, in IP-addressing sense)

 

- IEEE에서 MAC address 할당

- 제조사는 고유성을 보장하기 위해 MAC adress 공간의 일부를 구입

 

- analogy

: MAC address - Social Security Number (주민번호)

: IP address - postal address (우편주소)

 


< ARP: address resolution protocol >

: IP 주소를 알 때 MAC address를 결정하는 방법

 

- ARP table: each IP node (host, router) on LAN has table

 

- IP/MAC address mappings for some LAN nodes

< IP address; MAC address; TTL>

 

- TTL (Time To Live)

: address mapping이 잊혀질 때까지의 시간 (보통 20 min)

 

 

< ARP protocol in action >

예) A가 B에게 datagram을 전송하고 싶은 상황

A의 ARP table에는 B의 MAC address가 없으므로, A는 ARP protocol을 사용해서 B의 MAC address를 찾는다.

 1. A는 B의 IP 주소가 포함된
ARP 쿼리를 모두에게
broadcast

 - destination MAC address
 = FF-FF-FF-FF-FF-FF


 - LAN의 모든 노드가 ARP 쿼리를 수신
 2. B는 A의 ARP response에 응답하고
 B의 MAC address를 전송
 3. A는 B의 응답을 받고 B entry를
 local ARP table에 업데이트

 


< Routing to another subnet: addressing >

- A에서 B로 R을 통해 datagram을 전송하는 상황 (서로 다른 local에 있는 상태)

- IP(datagram) 및 MAC 계층(frame) 수준에서 addressing에 집중

 

> 가정

: A는 B의 IP address를 안다.

: A는 first hop router인 R의 IP address, MAC address를 안다.

 


 - A에서 A의 IP source, B의 IP destination을 사용하여 IP datagram을 생성한다.

 - A는 A→B IP datagram을 포함하는 link-layer 프레임을 생성한다.

 - Frame destination = R의 MAC address

 

 
 - A→R로 frame 전송

 - R에서 frame을 받고, datagram이 제거되고, passed up to IP

 


 R이 outgoing interface를 정하고, A의 IP source, B의 IP destination와 함께 datagram을 link layer로 보낸다.

 - R이 A→B IP datagram을 포함하여 link-layer frame을 생성한다.
 - Frame destination = B의 MAC address
 - transmits link-layer frame

 

 
 - B는 frame을 받고, B의 IP datagram destination를 추출한다.

 - B passes datagram up protocol stack to IP

 

 


< Topology >

: local 내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endpoints 또는 stations가 상호 연결되는 방식

*가장 많이 쓰이는 Topology: Bus Topology, Star Topology

 

> Bus Topology

: 하나의 큰 통로에 여러 기기가 연결

- 모든 stations는 tap을 통해 linear transmission medium 또는 bus에 직접 부착된다.

- station과 tap 사이의 Full-duplex operation을 통해 데이터를 bus에 전송하고 bus로부터 수신한다.

- 어떤 station에서나 전송되는 신호는 medium의 길이를 양방향으로 전파하고 다른 모든 stations에서 수신한다

- bus의 양쪽 끝에는 모든 신호를 흡수하여 버스로부터 제거하는 terminator가 있다.

 

Bus topology

 

> Star Topology

: 하나의 허브(switch)에 여러 기기가 연결

- 각각의 station이 공통의 central node에 연결

- Usually via two point-to-point links: transmission, reception

- 한사람이 전송하면 다른 사람은 받는다 → 동시에 보내면 collision

 

Star Topology & 2-level Star Topology

 

 

< Hubs >

- Active central element of star layout (Star topology의 중심을 담당)

- 각각의 station이 hub에 2개의 lines으로 연결

- Hub acts as a repeater

- Length of a line is limited to about 100m

- Opticalfiber may be used to about 500m (손실이 적은 광섬유)

- Physically a star, logically a bus

- 하나의 station이 전달한 정보는 다른 모든 stations에서 받을 수 있다.

- 두 개의 stations가 동시에 전송하면 collision 발생

 

 

*Shared medium bus, Shared medium hub

- 같은 라인을 공유하므로 40Mbps 불가능. 10Mbps가 최대

- 동시 사용 불가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*Layer 2 switch 

- 각각이 10Mbps로 보내도 저장 후 전송 가능하므로

N*10Mbps 가능

 

 

 

 


교재는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를 참고하였고, 자료는 이화여자대학교 이형준 교수님의 정보통신공학 강의에서 가져온 것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