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ap 10. Cellular Wireless networks
< IEEE 802.11 Wireless LAN >
- all use CSMA/CA for multiple access, and have base-station and ad-hoc network versions
*CSMA: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- 상황을 보고 쉬거나, 여러사람이 접근하도록 해준다.
보내기 전에 들어보고 signal level이 어느정도 이하이면 보내고 아니면 보내지 않는다. 대기하고 다시 듣고 전송
*CA: Collision Avoidance - hidden problem 해결
< LAN Architecture >
> wireless host communicates with base station
- base station = access point (AP: 무선 단말기)
: router의 기능 x (방향x)
: 그냥 받아서 router로 전달
> Basic Service Set (BSS) (“cell”)
- wireless hosts
- access point (AP): base station - 라우터나 스위치에 연결
- ad hoc mode: hosts only (AP 없음)
< 802.11: Channels, association >
> spectrum divided into channels at different frequencies
: 각각 고유의 채널이 있다.
예) 블루투스, NFC
- AP admin chooses frequency for AP
- interference possible: 인접한 AP에 의해 channel이 같아질 수 있다.
→ 인접한 AP는 다른 channel을 쓰도록 하는 것이 좋다.
> arriving host: must associate(접속) with an AP
1) host는 channels를 스캔하고 AP의 이름(SSID)과 MAC address를 포함하는 beacon frames를 듣는다.
*MAC address - 기기 고유의 주소
2) host가 접속할 AP를 선택
3) authentication (인증 수행)
4) DHCP를 run하여 AP의 subnet에서 IP 주소를 가져온다.
*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: IP 주소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 자동으로 할당
*다른 WiFi에 접속하면 IP주소는 바뀌지만 MAC address는 변화 x
< passive/active scanning >
passive scanning | active scanning |
![]() |
![]() |
: H1은 가만히 있고 AP들이 해줌 1) 여러 AP들이 beacon frames를 보냄 2) association Request frame 전송: H1이 AP를 선택 3) 선택된 AP에서 H1으로 association Response frame 전송 |
: 기다리지 않고 H1이 던짐(broadcasting) 1) H1이 Probe(조사) Request frame을 broadcast(던짐) 2) AP들이 Probe Response frames을 H1에 전송 3) Association Request frame 전송: H1이 AP를 선택 4) 선택된 AP에서 H1으로 Association Response frame 전송 |
< Multiple Access >
> avoid collisions: 동시에 2개 이상의 nodes가 전송
> 802.11: CSMA 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)
- 전송 이전에 감지
- another node에 의해 ongoing transmission을 감지하여 충돌 x
> 802.11: no collision detection!
- collisions 감지가 어려운 경우: transmitting signal↑, received signal↓ (∵ fading )
- collisions 감지가 불가능한 경우: hidden terminal, fading
- avoid collisions: CSMA/CollisionAvoidance (CSMA에 CA추가)
![]() |
![]() |
< MAC Protocol: CSMA/CA >
> 802.11 Sender
1) DIFS동안 channel이 비어있는지(idle) 감지하고 채널이 사용되지 않거나
특정 threashold(한계점)보다 낮으면 전체 frame을 전송 (Collision Detection x)
2) 만약 감지된 채널이 busy 하면(특정 threashold보다 높으면) random backoff time
*idle: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
*random backoff time - 랜덤으로 시간을 정하고 타이머를 가동하여 그 시간만큼 휴식
- 타이머가 만료될 때, 채널이 idle하면 전체 frame 전송
- idle하지 않으면 randome backoff time
만약 채널이 idle해서 데이터를 보냈는데 ACK를 받지 못했다면,
random backoff 간격을 늘리고 2)를 반복
> 802.11 receiver
frame이 잘 받아졌으면(OK) SIFS동안 기다린 후 ACK 전송
(ACK는 hidden terminal problem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)
< Avoiding collisions (more) >
*hidden terminal problem
![]() |
![]() |
- idea
: 먼저 보낸 사람이 채널을 사용하도록 예약하게 하자
: 채널이 idle하더라도 무작정 보내는 것이 아니라 B(AP)의 허락을 받고 전송
: 데이터 외의 small reservation packets을 사용하여 sender가 data frame을 위해 channel을 “reserves”
*overhead: 데이터 외의 추가적인 노력
> sender는 먼저 small request-to-send (RTS) packet을 CSMA를 사용하여 BS(BaseStation)에 전송
- RTS는 여전히 충돌 가능하지만 매우 짧다.
*RTS: 나 보내고 싶어 (요청)
> BS는 RTS에 대한 응답으로 broadcasts clear-to-send CTS
*CTS: 나한테 보내도 돼 (허락)
> CTS heard by all nodes (모두가 들을 수 있다 → 다른 기기는 전송하지마)
- sender transmits data frame
- other stations은 transmissions을 미뤄야한다. (defer)
< addressing >
00 | 1A | 3F | F1 | 4C | C6 |
4*12 = 48bit (16진수)
- address 1: frame을 받는 MAC address (Rx - receive)
- address 2: frame을 보내는 MAC address (Tx- transmit)
- address 3: WiFi access가 연결되어 있는 router의 MAC address
- address 4: ad hoc mode일 때 사용
802.11 Wifi frame | 802.3 Ethernet Frame |
- AP MAC addr: Rx - H1 MAC addr: Tx - R1 MAC addr: Router |
- R1 MAC addr: Rx - H2 MAC addr: Tx |
< mobility within same subnet >
- H1 remains in same IP subnet
: IP address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.
- self-learning
: host가 어떤 interface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지를 배워 스위치 테이블에 저장
: switch는 H1의 frame을 보고 어떤 switch port가 H1에 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기억("remember")
: switch는 H1이 어떤 AP로부터 왔는 지 알 수 있다.
< advanced capabilities >
> Rate adaptation 지원
base station, mobile dynamically change transmission rate
(physical layer modulation technique) as mobile moves, SNR varies
1) node가 base station으로부터 멀어지면, SNR ↓, BER ↑(왼쪽으로 이동)
2) BER이 너무 커지면, switch는 transmission rate를 낮춰 BER을 줄인다.
예) BER이 커질때 초록선 → 빨간선으로 변경
> power management 지원
1) node → AP
: “다음 beacon frame이 오기 전까지 잘래” 메시지 전송
- AP는 이 node에게 frame을 보내면 안되는 것을 안다.
- node는 다음 beacon frame이 오기 전에 일어난다.
2) beacon frame
: node가 자는 동안 깨우진 않지만 전송을 기다리면서 AP에서 mobile로 보낼 frames의 목록을 쌓아 관리하고 있다.
- AP가 mobile에게 보내는 frames이 전송되면 node가 일어난다.
- otherwise, 다음 beacon frame까지 다시 잔다.
< Personal area networks: Bluetooth >
*LAN(Local) - WiFi / PAN(Personal) - Bluetooth, Zigbee
- 10m diameter 이하
- cables의 대체품 (마우스, 키보드, 헤드폰)
- ad hoc: infrastructure없이 기기들끼리
- 2.4~2.5 GHz ISM radio band, 최대 3 Mbps
- master controller / clients devices
: master polls clients, grants requests for client transmissions
> TDM
: 한 slot을 625 msec로 나눔
> FDM
: sender는 79개의 frequency channels를 정의, pseudo-random order slot-to-slot (spread spectrum)
: other devices/equipment not in piconet only interfere in some slots
- parked mode: clients can “go to sleep” (park) and later wake up (배터리 절약 위해)
- bootstrapping: nodes self-assemble (plug and play - 설정없이 빠르게 사용 가능) into piconet
*piconet: 블루투스 네트워크
교재는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를 참고하였고, 자료는 이화여자대학교 이형준 교수님의 정보통신공학 강의에서 가져온 것입니다.
'Study > 정보통신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eek 12-1, 12-2] Cellular networks - Mobility (0) | 2023.05.22 |
---|---|
[Week 12-1] Cellular networks - Wireless (0) | 2023.05.15 |
[Week 10-1, 10-2] Cellular Wireless networks (0) | 2023.05.06 |
[Week 9-2] WAN (Wide Area Networks) (0) | 2023.05.02 |
[Week 9-1]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(HDLC) (0) | 2023.04.28 |